본문 바로가기

증권공부

가치투자의 이해 가치 투자란 기업의 자산 가치와 수익 가치, 그리고 성정성에 따른 가치를 분석하여 주가가 가치보다 현저하게(50% 이상) 저평가되었다면, 기업의 주식을 사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가치를 산다는 자세로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고, 기업의 가치와 주가가 거의 일치되는 수준에서 주식을 매도하여 수익을 달성하는 투자를 말한다.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필자가 사용하는 기업의 가치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업의 가치 = (자산의 청산 가치 + 주당 수익 가치 + 성장 가치) * 0.7 - 전부 1주당의 가치로 계산된다. - 0.7을 곱하는 것은 자산 가치의 변동성 및 계산상의 오차 등을 계산한 수치이다. - 청산 가치 기업의 자산을 청산할 시에 돈으로 받을 수 있는 가치를 .. 더보기
각종 보조지표의 매매시점 CCI - +100 이상 : 과다매수 상태 - 100 이하 : 과다매도 상태 - 0선 상향돌파 : 강세신호 . 매수시점으로 판단 0선 하향돌파 : 약세신호 . 매도시점으로 판단 - 상승 다이버전스 : 주가하락 . CCI 저점 상승 하락 다이버전스 : 주가상승 . CCI 고점 하락 Envelope - 주가가 가운데 이동평균선 상향돌파: 매수시점 -주가가 가운데 이동평균선 하향이탈 : 매도시점 - 지지선 부근에서 매입 저항선 부근에서 매도 Equivolume - 키다리형 : 매수.매도세 중 어느 한쪽이 강한 날 - 정사각형 : 매수.매도세간 팽팽한 양상 - 뚱보형 : 과잉 공급 . 하락 예상 Bollinger Bands - 밴드 등락폭이 좁아질수록 주가변화 가능성 고조 - 좁은 등락폭 안에서 장기간 머물수록.. 더보기
N자형 패턴 N자형 패턴 N자형 급등주는 전형적인 추세 상승형 급등주에서 자주 나타난다. 대세 상승국면이 지속될 때 또는 단기 급등세를 보인 후 급등에 따른 급락조정이 들어오지만 강세장이 예상되기에 후속매수세가 유입되며 다시 급등세로 전환된다. 또 개별 종목에서는 단기적인 수급논리가 작용하게 되는데, 급등할 때 매물홍수로 인해 주가가 하락세로 전환되지만, 일정폭이상 급락하게 되면 단기차익을 노리는 매수세가 급격하게 유입되어 이전 고점을 돌파하는 상승세가 나타나는 패턴이다. 정배열이라고 하는 것은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의 배열이 정상으로 된 상태를 말한다. 즉 장기 이동평균선(120일선)이 맨 밑에, 중기 이동평균선(60일)이 중간에, 그리고 단기 이동평균선(20일)이 맨 위에 놓여 있는 상태이다. 통상적으로 주가.. 더보기
캔들분석 종합편 Candle 챠트 분석기법(2) - 반전형 패턴 Candle 챠트 분석기법(3) - 십자형 패턴 Candle 챠트 분석기법(4) - 비석형과 잠자리형 Candle 챠트 분석기법(5) - 망치형과 교수형 Candle 챠트 분석기법(6) - 장악형 패턴 Candle 챠트 분석기법(7) - 장악형확인형 Candle 챠트 분석기법(8) - 포아형 Candle 챠트 분석기법(9) - 포아형 확인형 Candle 챠트 분석기법(10) - 관통형과 흑운형 Candle 챠트 분석기법(11) - 반전해머형&유성형 Candle 챠트 분석기법(12) - Doji Star Pattern Candle 챠트 분석기법(13) - 샛별형과 저녁별형 Candle 챠트 (14) - 아침십자별형 & 저녁십자별형 Candle 챠트 분석기법(.. 더보기
스토캐스틱 스토캐스틱은 현재의 가격이 어느 위치에 있느냐를 보는 보조지표입니다. 다른 보조지표들도 있겠지만 스토캐스틱은 일정기간동안의 주가 변동량에서 오늘의 주가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보고 매수와 매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지표는 비교적 확실히 드러나는 적삼병이나 흑삼병 혹은 이평선에 의한 추세 등의 기술적 지표가 부족한 횡보장에서 사용하시면 유용합니다. 여기에서 말씀드리는 스토캐스틱은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슬로 스토캐스틱입니다. 이것을 보실 보실 때는 두가지를 보셔야 하는데요 그것은 %K와 %D입니다. %D는 %K의 이동평균선입니다. 매수와 매도의 시점 스토캐스틱을 활용하시면 매수와 매도의 시점을 판단 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1. 오실레이터값이 80이상이거나 20이하 일 때 가끔 85이상과 25이하를 제시하.. 더보기
투자심리선 투자심리선 [개요] - 10일이라는 한정된 기간을 이용하여 시장의 인기, 즉 과열 및 침체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기법입니다. - 특히 시장분위기에 있어 심리적인 과열상태를 찾아내려고 하는 것이 이 지표의 특징입니다. [해석] - 통계적으로 보면 33.3 ~ 66.6% (전일대비 상승일수 4~8일)의 빈도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므로, - 투자심리선 지표가 75%이상이면 투자환경이 밝고 매입세력이 지나치게 왕성한 경우이므로 이때는 매도시점이 되고, - 25%이하라면 투자환경이 매우 어둡고 매도물량이 지나치게 많을 때이므로 매수시점이 됩니다. ☞ 기준선 설정 '50' 이상 매수 권장 더보기
RSI RSI (Relative Strength Index) [개요] RSI는 현재 추세의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언제 주가 추세가 전환될 것인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해석] - RSI의 값이 70 이상이면 과도 매수 상태로 판단하여 매도 시점으로 생각할 수 있고, 30 이하이면 과도 매도 상태로 생각되어 매수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RSI의 값이 30 이하이거나 70 이상일 때 주가 추세와 Divergence가 나타나면 추세 반전 신호로 판단됩니다. - 주가가 상승 추세로 보이고 있을 때 RSI의 값이 직전 최고 수준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다가 직전 저점을 하향 돌파하는 순간이 매도 시점이 되며, 반대로 주가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을 때 RSI의 값이 직전 최저 수준을 돌파하지 못.. 더보기
Stochastics Stochastics [개요] -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변동폭 중에서 금일 종가의 위치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로서 주가가 움직이는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 Stochastic Oscillator는 주요 지표인 %K와 %K의 이동 평균 값인 %D로 나누어집니다. [해석] - %K가 20% 이하로 하락 했다가 다시 상승하는 경우 매수 신호이며, 80% 이상으로 상승 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경우 매도 신호입니다. - %K 값이 %D 값을 상향 돌파하여 상승하게 되면 매수 신호이고 하향 돌파하여 하락하게 되면 매도 신호입니다. - 주가와 %K 추세 사이에 Divergence가 발생하면 곧 추세 전환이 발생하리라는 신호입니다. Stochastics Oscillator [개요] 일정 기간.. 더보기
거래량과 주가 관계 거래량의 개념은 간단하다. 매수와 매도가 한 켤레가 되어 거래량이 된다. 즉, 매수 1주와 매도 1주가 결합하여 거래량 1주가 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거래량이 늘어나면 사려는 사람과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주가가 크게 요동을 친다. 반대로 거래량이 적으면 주식시장이 침체되었다는 의미이므로 동결되거나 작은 폭으로 주가가 움직인다. (반드시 주가가 하락하는 것은 아니다. 슬금슬금 올라가기도 한다.) 그러나 거래량에서 정작 중요한 것은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기술적 분석이 주가에 후행하는 반면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하여 나타납니다. 아래의 차트를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녹색선은 주가의 추세를 나타낸 선이구요, 검은선은 거래량과 주가의 기준선을 나타낸 것입니다. .. 더보기
골든크로스 & 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위로 올라서는 모양이며, 대체로 주가가 상승 국면으로 전환될 때 나타난다.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아래로 내려가는 모양이며, 대체로 주가가 하락 추세로 전환될 때 나타난다. 차트에서 보면 '데드크로스'라고 표기된 곳에서 연두색과 빨강색의 선이 교차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빨강색은 20일 이동평균선이며, 연두색은 5일 이동평균선이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단기 이동평균선보다 장기 이동평균선이 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때는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데드크로스가 출현하면 주식을 매도하기에 유리한 타이밍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골든크로스'라고 표기된 곳에서는 빨강색의 이평선이 연두색의 이평선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을 볼 수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