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 갤럭시S3 공개를 통해 본 스마트폰 관련주 (하이투자 이상헌) * 갤럭시S3 공개를 통해 본 스마트폰 관련주 (하이투자 이상헌)스마트폰 시장 성장으로 관련주 실적개선1. 갤럭시S3 등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 증가 지속될 듯⇒부품업체 수혜 가능 오늘 2012 올림픽 개최도시 영국에서 공개된 갤럭시S3는 쿼드코어와 넓고 선명한 디스플레이 채용으로 하드웨어적으로 현재 최고의 사양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음성으로 인식해 실행하는 기능과 케이블 없는 무선충전 등 첨단방식이 채용되어 이번 갤럭시S3도 이변이 없는한 시장의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갤럭시S는 2000만대 이상 판매 되었으며, 이후 출시된 갤럭시S2의 경우도 2000만대를 돌파하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삼성전자의 차세대 주력폰인 갤럭시S3는 아이폰5가 10월 출시가 예상되는 가운데 아직.. 더보기
5/4일 SBS콘텐츠허브_SK 이현정 5/4일 SBS콘텐츠허브_SK 이현정"12.2Q: 구조개편과 실적개선 전망" 1. 적자사업부 축소로 2012년 OPM 17%까지 개선 전망- 2011년 59억원 영업적자였던 엔터사업부를 57%가량 축소, 방송콘텐츠 자산도 35% 축소 2. 뉴미디어산업 성장 및 시청률 개선, 2Q OP 58% 증가 예상- 2011년 SBS 킬러콘텐츠 부족에도 미디어매출 60% 성장- 기저효과, SBS 시청률 개선, 뿌리깊은나무 해외수출 반영 3. TP 15,000원 하향조정, 단기투자매력 높을 전망- 적자사업부 축소에 따른 이익가시성 높아짐- 2Q 이익모멘텀- 미디어매출 높은 성장 지속- 2012E PER 8.2배 저평가 더보기
오전 주요 시황/기업/해외 관련 메신져 요약(WM컨설팅팀) 오전 주요 시황/기업/해외 관련 메신져 요약(WM컨설팅팀) 증권사별 5월 전망최저: 1,890 최고: 2,150 상·하당 평균: 1,920 ~ 2,070pt DAIWA 중국 4월 은행 예금 하락 RMB 1조 규모 이탈. 5월 첫 3일 예금율 하락이 0.2% ppt 하락 시 4대 은행 경고 할 것.4월 4대은행 대출 총 2600억. →中 빠르면 이번주 50bp 지준율 인하 가능성 >> 4월 신규대출이 ~30%mom 급감 우려. 바이오주 급등 관련 comment 정부, 줄기세포 산업화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 마련에 착수 뉴스 영향-바이오시밀러에서 이제는 줄기세포로 정부의 R&D지원의 축이 확대된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대규모의 연구비 지원을 통해 공정개발은 물론 세포치료제 개발 확대관련주: 메디포스트, 차바이오.. 더보기
현대차와 기아차의 4월 미국시장 점유율이 전월보다 상승한 9.27%를 기록했다. 현대차와 기아차의 4월 미국시장 점유율이 전월보다 상승한 9.27%를 기록했다. 2일(현지시간) 미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티브 뉴스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미국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동기 대비 2% 증가한 118만4567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현대차와 기아차의 판매량은 각각 6만2264대와 4만7550대였고, 현대·기아차 전체 판매량은 10만9814대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의 4월 미국 시장점유율은 전월 9.05%보다 상승한 9.27%를 기록했다. 앞서 현대·기아차의 미 점유율은 작년 12월 7.6%로 떨어진 이후 올 1월(8.56%)과 2월(8.36%) 8%대를 회복했고 지난달 9%선을 만회했다. 더보기
2012.05.02 주요 증권사별 종목 분석 하이투자증권은 2일 현대모비스에 대해 2분기 실적 개선 전망 등을 바탕으로 주가가 추가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가 40만원을 유지했다. 이 증권사 권순우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86.4%까지 상승했던 현대모비스의 원가율이 올 1분기엔 85%로 하락해 4분기 연속 상승 흐름을 끊고 변곡점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고, 이에 영업이익이 사상 최대인 7306억원을 기록했다"며 "2분기에도 사상 최대 규모의 이익을 경신할 전망이란 점 등을 고려하면 주가의 추가 상승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실적 발표를 바탕으로 연간 당기순이익 전망을 3조7000억원 수준으로 설정할 경우, 현재 현대모비스의 주가수익비율(PER)은 8.1배로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권 연구원은 진단했다... 더보기
[NH/강윤흠]삼성SDI (006400) 12.1Q Review : 불확실성 해소 vs. 장기성장성 부재 [NH/강윤흠]삼성SDI (006400) 12.1Q Review : 불확실성 해소 vs. 장기성장성 부재 ▲ 12.1Q 영업이익 670억원 기록. 뉴아이패드 효과로 시장 컨센서스 상회애플 뉴아이패드향 폴리머전지의 기여와 태양광 부문의 손실 축소(-130억원수준, 기존 전망 -170억원)가 주요 요인. ▲ 삼성디스플레이 합병 내역 확정. SMD 평가금액 4.27조원으로 시장 기대 상회SMD 보유지분 평가금액은 4.27조원, 합병사 중 지분율은 15.22%로 잠정 결정됨. 평가차액은 지분법이익으로 3분기 중 일시에 반영될 전망. ▲ 목표주가를 176,000원으로 10% 상향 조정함 삼성SDI의 삼성그룹 관계사 보유지분의 장부가액은 총 6.5조원 수준으로 현재 시가총액의 87% 수준. 삼성그룹 주가 상승은 주.. 더보기
2012.04.27 주요기사 및 공시 신문기사 요약 매일경제 (면)미국 소고기 수입조건 어긋나면 검역 중단OECD ‘ 성장률 높이려면 정년 폐지하고 여성고용 늘려야1분기 2.8% 성장 그쳐 경제위기는 진행중..가늠할 수 없는 경기 바닥U턴 기업에 설비투자 보조금 15% 지원대우그룹 채권 18조 떨이 판매..자산관리공사 , ‘IMF 부실채권’ 마지막 처리미국 연준 ‘경제 완만한 성장세 지속’..올해 성장률 전망 2.4~2.9%로 올려..버냉기 ‘필요하면 추가 부양책’드라기 “유로존 성장 협약 필요”..영국도 더블딥 빠져..긴축에 대한 비관론 확산현대차 1분기 매출, 영업이익 사상 최대…내수는 오히려 줄었지만 수출 22%나 늘어SK하이닉스..1분기 영업손실 2600억..2분기에 D램값 및 PC수요에 기대 흑자 전망동양건설산업..동양최대 신재생 .. 더보기
타사 시황 브리프(2012.4.27) 타사 시황 브리프(2012.4.27) 전차군단의 질주는 계속될 수 있을까?- 최근 반등 과정에서 국내 증시는 해외 증시 대비 부진한 흐름을 지속했으나 상승 탄력 둔화에도 불구하고 코스피는 1,960선에서 의미 있는 지 지력을 확인하는데 성공. 선진 시장의 경기 부양 기대와 유로존 우려 완화로 코스피의 기술적 반등 시도가 이어질 전망- 미국 경기 회복에 따른 전차군단 (전기전자 + 자동차 업종)의 실적 모멘텀이 견조한 흐름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 박스권을 염두에 둔 단기 트레이딩 관점의 매매 전략은 여전히 유효할 전망 깊어가는 종목 걱정, 체감심리는 바닥 도달- 일부 소비재주식 신고가 만끽속 소외주식 연중 최저가로 추락하며 극과 극 양상- 외생변수들의 일부 완화 및 개선으로 KOSPI는 조.. 더보기
주요 증권사 추천[에이블씨엔씨,위메이드,LG전자] 이트레이드증권은 26일 에이블씨엔씨에 대해 1분기 깜짝실적이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5만4000원에서 6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양지혜 이트레이드증권 연구원은 "에이블씨엔씨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2.5% 늘어난 775억원, 영업이익은 337.0% 증가한 82억원을 기록, 기존 추정치(매출액 719억원, 영업이익 47억원)를 크게 웃돌 것"이라고 추정했다. 양 연구원은 "매출액 42.5%의 고성장은 작년 4분기 출시한 트리트먼트 에센스와 올해 1분기 출시한 나이트리페어 앰플이 대성공해 1분기 각각 15%의 성장을 이끌었다"며 "미샤의 브랜드 인지도를 향상시키면서 기타 제품들 또한 10% 이상의 추가적인 성장 역시 이끈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고가.. 더보기
대우증권 주요 리포트 요약 [보고서 요약]NHN (035420) -KDB 대우증권 김창권(768-4321) 성장주니 고PER주이다. 하반기 ‘라인’ 수익모델 확인 예상 - 모바일 검색광고 일평균 판매액, 5월 모바일 페이지 변경 이후 상승세 재진입 예상 - '라인' 유료 스티커 판매, 네이버재팬 검색창 및 한게임재팬 플랫폼 등 적용 계획 - 2012년 네이버재팬 전체 트래픽이 한 단계 상승, 연내 광고판매 대행사 선정 등 본격적인 광고 판매 시작 예정- 하반기 모바일 트래픽과 멀티메시징서비스 ‘라인’이 수익변수로 전환 전망 - 지금 시장의 고평가 논란(과거 4년간 PER 밴드는 18배-23배 수준)은 성장산업에서 흔히 관찰되는 현상으로 미래 성장 기대감이 단기 PER을 높이는 것은 자연스러운 모습.-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