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chastics Stochastics [개요] -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변동폭 중에서 금일 종가의 위치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로서 주가가 움직이는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 Stochastic Oscillator는 주요 지표인 %K와 %K의 이동 평균 값인 %D로 나누어집니다. [해석] - %K가 20% 이하로 하락 했다가 다시 상승하는 경우 매수 신호이며, 80% 이상으로 상승 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경우 매도 신호입니다. - %K 값이 %D 값을 상향 돌파하여 상승하게 되면 매수 신호이고 하향 돌파하여 하락하게 되면 매도 신호입니다. - 주가와 %K 추세 사이에 Divergence가 발생하면 곧 추세 전환이 발생하리라는 신호입니다. Stochastics Oscillator [개요] 일정 기간.. 더보기
거래량과 주가 관계 거래량의 개념은 간단하다. 매수와 매도가 한 켤레가 되어 거래량이 된다. 즉, 매수 1주와 매도 1주가 결합하여 거래량 1주가 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거래량이 늘어나면 사려는 사람과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주가가 크게 요동을 친다. 반대로 거래량이 적으면 주식시장이 침체되었다는 의미이므로 동결되거나 작은 폭으로 주가가 움직인다. (반드시 주가가 하락하는 것은 아니다. 슬금슬금 올라가기도 한다.) 그러나 거래량에서 정작 중요한 것은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기술적 분석이 주가에 후행하는 반면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하여 나타납니다. 아래의 차트를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녹색선은 주가의 추세를 나타낸 선이구요, 검은선은 거래량과 주가의 기준선을 나타낸 것입니다. .. 더보기
골든크로스 & 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위로 올라서는 모양이며, 대체로 주가가 상승 국면으로 전환될 때 나타난다.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아래로 내려가는 모양이며, 대체로 주가가 하락 추세로 전환될 때 나타난다. 차트에서 보면 '데드크로스'라고 표기된 곳에서 연두색과 빨강색의 선이 교차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빨강색은 20일 이동평균선이며, 연두색은 5일 이동평균선이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단기 이동평균선보다 장기 이동평균선이 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때는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데드크로스가 출현하면 주식을 매도하기에 유리한 타이밍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골든크로스'라고 표기된 곳에서는 빨강색의 이평선이 연두색의 이평선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을 볼 수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