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가 몸통의 두배이상인 형태로 주로 바닥권에서 출현하면 상승 추세전환 신호로 판단 익일 주가가 전일 일봉의 몸통이나 몸통위에서 형성되거나 양봉으로 그림자가 길 때 혹은 같은선상에서
한 개 이상 나타나 거래량이 증가하면 신뢰성이 높아진다. 주가가 바닥권인지 여부를 확인해야한다.
-
교수형(Hanging Man)
교수형은 상승추세에서 나오는 망치형 형태를 보인다. 상투권에서 약세전환패턴으로의 전환으로 판단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음봉이 출현하는 경우나 익일 주가가 전일 그림자 부근에서 형성되면 신뢰성증대
-
역전된 망치형(Inverted Hammer)
망치형을 뒤집어 놓은 형태임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의 반전신호로 판단 양봉이며 익일주가가 전일 캔들의 몸통위에서 형성되거나 연속하여 출연하면 강한 반전신호로
신뢰성이 증가된다.
-
유성형(Shooting Star)
상승추세에서 하락추세로의 전환의미 그림자는 몸통의 3배 이상이어야 한다.(그림자의 중요성이 큼) 아래그림자가 없다. 시가 갭 상승 후 신고가를 만든 다음 종가는 거의 저가부근에서
-
상승샅바형(Bullish Belt Hold)
긴 몸통이 특징이며, 아랫그림자가 없다.(시가와 저가가 동일) 양봉이거나 거래량이 증가하면 신뢰성이 높다. 익일 종가가 양봉 밑에서 형성되면 하락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
하락샅바형(Bearish Belt Hold)
긴 몸통에, 윗그림자가 없다.(시가와 고가가 동일) 익일 종가가 음봉위에서 형성되면 상승 지속의미 거래량 없이 하락하면 하락추세 지속으로 신뢰성이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