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증권은 28일 대한항공에 대해 영업실직이 2분기부터 개선돼 3분기에는 사상 최대 수준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며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7만원을 유지했다.
강성진 동양증권 애널리스트는 "대한항공의 영업이익은 지난 1분기까지 6분기 연속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해왔지만 2분기 부터는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라며 "유가가 현재의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3분기 영업이익은 사상 최대 수준(2010년 3분기 IFRS기준 영업이익 4165억원)에 도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 애널리스트는 2010년 이후 적극적인 항공기 투자에도 불구하고 업황이 뒷받침되지 않아 대한항공의 실적은 오히려 뒷걸음쳐 왔지만 2012년 하반기에는 업황이 호전되면서 억눌려있던 잠재력을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대한항공의 6월 여객부문 탑승률(L/F)이 82% 수준까지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며 이는 본격적인 성수기(7~8월)를 앞둔 시점에서는 이례적으로 높은 수치라고 평가했다. 지난 3월 72%에 불과했던 여객 L/F를 3개월만에 10%p 끌어올리는 것.
동양증권은 2분기 평균 L/F는 78.9%로 전분기대비 +3.2%p, 전년동기대비 +0.7%p가량 상승할 것이라며 판매단가(Yield)도 전년대비 +2.7% 높아진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여객서비스공급량(ASK)가 지난해 동기대비 약 9% 증가한 것으로 보임을 감안할 때 상당한 매출성장을 가져오는 요소가 된다고 설명했다.
강 애널리스트는 아직 화물부문의 개선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다만 지난 5월 한국항공화물수출톤수가 전년동월대비 2%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화물업황의 바닥 통과 시그널을 나타냈다고 진단했다. 인천공항 물동량도 하반기에는 증가세로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향후 12개월의 영업환경은 이전 12개월 대비 크게 다를 것이라는 판단이라며 영업이익도 과거 12개월 2144억원에서, 향후 12개월은 7596억원 수준으로 점프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가도 이에 맞는 상승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KTB투자증권은 녹십자의 2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하겠지만, 3분기부터는 다시 실적 호조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평가했다. 목표가를 16만원에서 17만원으로 상향조정하고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KTB투자증권은 녹십자의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1837억원, 179억원으로 예상했다. 전년동기 대비 6.6%, 37.0% 향상된 수치다. 이혜린 연구원은 "1분기에 이어 수출실적이 호조를 보였다"며 "다만 부진한 수익성과 환율상승으로 영업이익률은 다소 낮아졌다"고 밝혔다.
2분기 수익성은 기존 예상보다 부진하지만 독감백신 성수기인 3분기 수익성은 기존 예상치를 상회할 것으로 판단된다. 2분기 영업이익이 9% 하향해도 3분기 영업이익을 22% 상향하고, 연간 추정 영업이익도 7% 상향 조정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독감백신 시장은 수입 독감백신의 제한적 공급으로 지난해 비해 우호적인 가격 형성이 예상된다" 고 밝혔다.
동양증권은 28일 대웅제약에 대해 선두권 업체에 비해 실적 회복 속도가 부진하다고 평가했다.
김미현 동양증권 애널리스트는 "대웅제약은 대표적인 중형 제약사(Product Portfolio 및 R&D 역량 기준)로 특히 강한 영업력을 바탕으로 외국계 제약사의 의약품을 국내 판매하는 마케팅 동맹(Marketing Alliance)을 주요 전략 중 하나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2008년 매출 1위 품목인 올메텍(Daiichi Sankyo, 고혈압 치료제) 판매 계약이 국내 독점판매에서 개발사와 공동 판매로 전환되고 금융위기로 인한 원환율 급등으로 수입 원재료 및 상품 매입이 많았던 대웅제약의 실적이 크게 악화되면서 주가가 상당 기간 부진했다.
동양증권은 대웅제약의 2분기 매출액이 1775억원(전년대비 +0%, 전기대비 +3%), 영업이익 30억원(-86%, -76%) 수준으로 컨센서스 추청치(데이터가이드 매출액 1673억원, 영업이익 81억원)를 큰 폭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4월 대규모 약가인하가 대웅제약의 올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약 700억원(매출대비 10%)으로, 주요 제약사 중에서 종근당(매출 대비 11%) 다음으로 높다"며 "2분기 약가인하로 인한 차액정산(서류상 반품 처리)으로 발생한 일회성 비용은 약 60억원이며 수입 원재료 및 상품 매입단가 하락(8~12월 제품 생산에 투입)으로 올해 약 100억원의 원가절감이 기대된다"고 했다.
그는 경쟁사 대비 대웅제약의 2분기 실적은 상당히 부진한 편이라며 대웅제약이 올해 매출액 7060억원(+0%), 영업이익 300억원(-54%)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함에 따라 3분기 이후에도 실적이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애널리스트는 "아직 대웅제약의 내년 실적 전망은 불확실한 상황인데, 내년 4월 보톡스 시밀러 DWP 450(보툴리눔 독소A형 주사제)를 출시해 매출 200억원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DWP 450은 올해 3월 국내 임상 1상을 시작, 오는 9월 임상 3상(400여명 대상)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대웅제약의 주요 리스크 중 하나는 매출 1위 품목 올메텍(2011년 매출 736억원, 매출 비중 10.4%)이 2014년 9월 특허만료되면 약가가 30% 인하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웅제약은 이로 인한 매출 감소를 상쇄하기 위해 모 외국계 제약사로부터 고혈압 복합제를 국내 독점판매 계약을 체결해 내년초 출시할 예정이며 내년 최대 매출 200억원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영증권은 28일 강원랜드에 대해 최근 단행한 임원 인사로 그간 집행임원 부재로 인해 차질을 빚었던 ‘게임기구 증설’이 속도를 낼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가 4만원을 유지했다.
강원랜드는 지난 25일 집행임원 인사를 단행, ‘카지노 본부장’과 ‘하이원리조트 경영지원 본부장’에 각각 양홍석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산업 과장과 김시성 지식경제부 지역특화발전 특구기획단장을 임명했다.
이번 인사는 몰래 카메라(이하 몰카) 사건으로 자진 사퇴해 공석이 된 카지노 본부장과 경영지원본부장을 선임한 조치다.
한승호 연구원은 "5월말 신규 영업장의 완공에도 불구하고 증설이 더디게 진행돼 왔다"며 "강원랜드와 관계된 주요 부처에서 핵심임원들이 선임된 만큼, 증설에 무게가 실릴 것"이라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식경제부는 각각 카지노 인?허가와 동사의 운영을 담당하는 부처로 카지노 본부장에 양홍석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산업 과장이 선임되면서 향후 회사와 정부 사이에서 게임기구 증설을 조율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한 연구원은 "증설에 가속도와 무게가 실릴 가능성이 높아 향후 주가는 탄력적인 상승이 예상된다"며 "2012년 P/E가 파라다이스의 70% 수준에 불과해 밸류에이션도 매우 매력적"이라고 밝혔다.